1. 아래 경로로 들어가 현재 설치된 OS 선택. 현재 윈도우 설치돼 있으므로 Windows 선택
https://docs.flutter.dev/get-started/install
2. Flutter SDK 다운로드
3. 다운로드한 파일을 적당한 위치로 이동하고 압축풀기
4. 윈도우 콘솔창에서 Flutter 명령어들이 실행되도록 하기 위해 환경변수에 flutter/bin 경로 추가.
5. 콘솔창을 열어 'flutter doctor' 명령을 실행한다. 이 명령은 환경 체크 후 플러터 설치 상태에 대한 리포트를 보여준다. 현재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설치돼 있지 않아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설치한다.
6.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설치 후 다시 'flutter doctor' 실행했지만 Android toolchain 관련 에러 메시지 2개가 떠 있다. 이것들도 해결해야 한다. 먼저 'cmdline-tools 컴포넌트가 없다' 라는 메시지부터 처리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실행해서 File - Settings... - Appearance & Behavior - System Settings - Android SDK - SDK Tools 탭 선택 후 'Android SDK Command-line Tools (latest)' 체크 후 설치한다. 이 후 다시 'flutter doctor' 실행.
7. cmdline-tools 문제는 해결됐고, 남은 경고는 'flutter doctor --android-licenses' 명령 실행을 처리. 모든 질문에 'y' 입력. 다시 체크.
ㄹ
8.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실행 후 AVD Manager 버튼 클릭해서 아래 절차를 통해 가상 디바이스 생성.
9. VS code 실행 후 View - Command Palette... 클릭
10. 'install' 이라 입력 후 'Extensions: Install Extensions' 클릭
11. 좌상단에 flutter 입력 후 첫번째 Flutter 클릭해서 인스톨.
12. View - Terminal을 클릭한 후 'flutter doctor' 명령을 실행하여 다시 한번 문제가 없는지 체크한다.
13. View - Command Palette... 클릭 후 'flutter' 입력한 다음 'Flutter: New Project' 클릭
14. Applicaiton 클릭한 다음 새 프로젝트 폴더에 대한 부모 디렉토리를 생성하거나 선택.
15. 프로젝트명을 임의로 입력하고 엔터.
16. 화면 우하단에 앱을 실행할 디바이스가 표시되어 있는데 이 부분을 클릭해서 앞서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생성한 디바이스를 선택한다. 그럼 잠시 후 에뮬레이터가 실행된다.
17. Run - Start Debugging을 클릭하거나 F5를 눌러 앱을 실행해본다. 초반에는 필요한 SDK 등을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
18. 여기까지 문제없이 수행됐다면 설치 환경 구성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