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2 Dockerbuild 파일에서 git clone 이미지를 생성할 때 기본 이미지를 바탕으로 수작업으로 세팅 후 commit을 하는 방법도 있지만 명시적으로 어떤 작업을 거쳐서 이미지가 생성됐는지 확인하기 위해 Dockerbuild 파일을 작성해서 build하는 방법으로도 많이 사용한다. 그런데 도커 사용 이력이 짧다 보니 git 서버에서 소스 코드를 받아오는 과정에서 삽질을 많이 했다. 일단 빌드 중에는 유저와의 interaction이 되질 않는다는 것도 삽질하다 알게 됐고, 때문에 계정 정보를 입력해서 소스코드를 다운 받는 문제를 해결해야 했다. 처음에는 사용중인 username과 password를 주소상에 입력하기도 해봤는데 보안상 문제도 있고, 패스워드 Dockerfile에 그대로 노출돼 있는 것이 미관상(?) 보기 좋지 않았다. RUN git .. 2023. 11. 22. 실수로 git에 추가된 파일 제거 1. git log명령으로 제거할 파일이 추가되기 직전의 커밋 시점 확인 $ git log --online 20875a3 (HEAD -> master) updated at 2023.08.17 9ff5682 updated at 2023.08.16 2023. 8. 17. 이전 1 다음